물벼룩

[스크랩] 물벼룩 배양

덕천인물 2012. 8. 3. 11:38

광합성세균을 발생시켜 물벼룩배양을 합니다

광합성세균의 발생여건에는

햇빛에서 유기질이 많은 부영양화상태에서 부패가 되지않고 분해가 잘되는 환경과

햇빛에서 수초비료를 많이쓰는방법등이 있읍니다

이중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수 있는 소형곤충채집통이나 소형어항에서

수초비료를 많이쓰는 방법이 간단하고 편합니다

초기셋팅시에는 소형곤충채집통이나 소형어항에 수초비료를 많이쓰고

그다음날부터는 상황에따라 어느정도씩 투입합니다

생녹조방식과 비슷한데 수초비료를 많이쓰는것이 다릅니다

시중제품과같이 빨간색은 아니며 약간 홍색또는 노란색을 띨정도로 하고있읍니다

우리가 물벼룩이 잘 발생하는 곳을 보면 공통적인것이 물색깔이 노랗다는것입니다

이는 생녹조와 광합성세균이 반반씩 어우러져 생녹조의 녹색과 광합성세균의 빨간색이 혼합되어

노란색으로 보이는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하나의 방법으로는 순전히 이끼만을 사용하는방법입니다

소형곤충채집통에 닦아낸이끼를 1 cm 정도이상 쌓일정도로 넣으면 수질은 깨끗한상태에서

이끼의포자가 나와서 물벼룩이 그걸먹고 증식됩니다

어지간해서는 그 이끼량을 공급할수없으며 저는 우연한기회에 그걸경험했지만

사실 대형어항에서 닦아낸이끼를 소형곤충채집통만한 용기에서 물벼룩을 배양한다는것은 실용적이지않읍니다만

이끼가 많이 확보되시는분도 계실까하여 적어는 봅니다

 

생녹조나 광합성세균방식에서 어항을 햇빛에 놓을때

창가나 베란다가이기때문에 낮에는 수온이 너무 올라고 겨울철야간에는 수온이 너무 내려가서

이는 어항내 모든생물에게 좋지않고 생존이 불가능하게까지 합니다

직사광선을 피하고 환한환경에서 수온의 온도차가 심하지않고 적당한수온을 유지할수있는곳에

어항을 배치해야 합니다

  

물벼룩의 먹이에는

생녹조에는

녹색말과 이끼의포자가 있읍니다

이끼는 벽면이나 밑면의 이끼던 찌꺼기의 이끼던 버리지 마세요

이끼의포자도 좋은 먹이가되고 이끼자체도 녹색말과 서로의발생을 촉진시키는 공생관계인것같읍니다

광합성세균은

비료가 없거나 적을때는 생녹조가 발생하고 

많은비료상태에서는 광합성세균이 발생합니다

생녹조보다 광합성효율이 떨어져 많은 비료를 필요로하는듯 합니다

유기물에는

금붕어사료 질금가루 고사리 건초류줄기부분 생초나곡류나과일류 배설물 우유나요구르트등이 잇읍니다

끝에갈수록 안좋다는것이며 건조된것 식물성이 좋고 영양이많은것 고기나단백질은 안좋다는것이지요

우유등 분해가 빠른 액상유기물은 안좋고 볏짚등 분해가 느린것이 좋은데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지요

미생물제재에는

psb em 등 미생물제재와 이스트 폐수처리용종균제등이 있읍니다

시중제품에는

건조분말녹색말과 냉동녹색말이 있읍니다

발효는 왜 제외시켰냐하면 발효물은 수중에 투입하면 어차피 분해나 부패로 나아갑니다

인푸조리아(짚신벌레등 원생동물)도 있는데 잘 발생시켜야하며

수량대비 발생량이 적어서 만족할만한 물벼룩밀도를 얻기가 힘듭니다

위의 어느것이던 한가지만쓰면 힘들고 여러가지를 혼합할수록 결과가 좋읍니다

 

물벼룩의 분포상황은

물벼룩이 바닦에 앉아있으면 먹이부족이고 서서히 소멸되어갑니다

물벼룩이 수중에 골고루 퍼져있으면 좋고

수중어느곳이던 둥굴게 모여있어도 좋고

수중에서 띠를 이루고있어도 좋읍니다

물벼룩이 수면에 골고루 퍼져있으면 산소부족의 시작이며 거기까지는 좋은상황입니다

야간에는 물벼룩이 산소가부족해도 바닥에 분포하므로 주로 야간에 많이 사멸합니다

주로 주간의사멸은 먹이의독성 야간의사멸은 산소부족인경우가 많읍니다

물벼룩이 벽면에 모여있으면 치어일때에는 치어기에 잠시 쉬는것이며

성체일경우에는 수질에 문제가 있어서 탈출하고싶은 상황이며 벽면의 끈적한 미생물에 붙어 몰살하는수도 있읍니다

물벼룩이 수면이나 벽면상부에 빨갛게 모여있으면 수질오염과 산소부족이 극심한 상태이며 다음날이면 몰살합니다

물벼룩이 너무활발하거나 너무천천해도 안좋은상황입니다

물벼룩이 만족스러운때가 사실 위험한때인경우가 많읍니다

 

물벼룩의 색상은

녹색말은 녹색 유기질분해는 주로 빨간색 반반씩이면 노란색 우유는 백색을 나타내고

오래전에는 수질이 좋아서 원생동물을 먹는지 투명색의 물벼룩이 자주 목격되었는데

지금은 거의 목격할수가 없읍니다

 

산소기의 산소공급은

생녹조방식에서 저밀도로 배양하면 산소기가 필요없겟지요

유기질분해방식에서 고밀도로 배양하려면 가능한 최대의 산소공급이 필요합니다

그 중간에서는 어느정도의 산소공급을 해야겠지요

 

생태계적인어항에는

고밀도의 물벼룩배양에서는 구피와같이 튼튼한어종만이 합사가 가능합니다

저밀도의 물벼룩배양에서는 네온과같이 수질에 예민한 어종도 합사가 가능합니다

물벼룩과 열대어가 합사된 생태계적인 어항을 만드는방법은 알게되었는데

구체적인방법은 각자의 아이디어로 하는것이 낫겠읍니다

다만 어항은 넓고 낮던가 아니면 폭이 좁은것이 더욱 낫겠읍니다

생태계적인어항을 만들기위한 미생물의 기초는 녹색말과이끼 광합성세균 분해미생물을 배양합니다

투입물은 수초비료와 유기물+이스트입니다

녹색말과이끼는 수초비료정도로도 잘 배양되고

분해미생물은 유기물+이스트로 잘 배양되고

광합성세균은 수초비료+유기물이분해된비료로 짙은비료상태여서 잘 배양됩니다

이 모두를 한어항에서 저밀도로 배양하세요

나머지 물벼룩과 네온이나구피는 개체수조절만하면 됩니다

 

그럼 물벼룩애호가님들 물벼룩 배양 잘하세요

 

 

                                                                     --- 물벼룩매니아 ---

 

 

 

 

 

출처 : 물벼룩 배양
글쓴이 : 물벼룩매니아 원글보기
메모 :

'물벼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A14 물벼룩의 생육  (0) 2012.07.10
물벼룩 영향  (0) 2007.03.28
구리 민감도  (0) 2007.03.28
물벼룩 생김새  (0) 2007.03.28
물이끼  (0) 2007.03.28